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판매가

13,500 원

배송비 배송비

3,000원 (50,000원 이상 무료배송)

상품코드

KOR9791188215959

출판사

철수와영희

저자명

최종규

출시일

2023년 09월 05일 출간

-
+

총 합계금액

0

제품상세 정보
ISBN 9791188215959(1188215957)
쪽수 216
크기 150*207mm
책소개
이 책은 우리말을 하나둘 배우는 어린이들과 함께 우리말 뿌리와 결과 너비를 살피는 책입니다. 24가지 숲이나 우리 삶과 가까운 주제를 통해 우리말을 가르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들려줍니다. 저자는 교과서를 읽거나 한글을 뗀대서 ‘말 배우기’가 되지 않고, 생각을 넓히고 슬기를 빛낼 때에 비로소 ‘말 배우기’가 된다고 말합니다. 말을 배울 때에는 ‘낱말 하나하나를 지은 사람들이 살아오며 느끼며 겪은 이야기를 고스란히 담은 넋’을 배우는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저자가 들려주는 꽃, 나무, 날, 놀이 등 24가지 우리말 이야기를 통해 이 책을 읽는 어린이들은 우리말에 담긴 우리 겨레의 넋을 배울 수 있습니다.
저자소개
‘우리말꽃(한국말사전)’을 짓는 길을 걷는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서재도서관을 꾸리고 숲살림을 짓는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이 쓰고 남긴 글을 갈무리했고, 공문서·공공기관 누리집을 쉬운 말로 고치는 일을 했다. 《쉬운 말이 평화》,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글쓰기 사전》,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내가 사랑한 사진책》, 《골목빛》, 《자전거와 함께 살기》, 《사진책과 함께 살기》 같은 책을 썼다.
목차
머리말 : 흙에서 자라고 꽃처럼 피어나는 우리말 이야기
1. 꽃처럼 피어날 말

꽃망울·꽃몽우리·꽃봉오리
2. 나무답게 푸르게 우거지는 말

막대기·우거지다·작대기
3. 날마다 즐겁게 나누는 말

그러께·그제·글피·모레·이듬해·이제·이태·하루·해
4. 놀이하며 자라는 말

구슬치기·노리개·소꿉·술래잡기·숨바꼭질·신나다·제기차기
5. 동무들과 아끼는 말

길동무·너나들이·얘기동무·어깨동무
6. 몸으로 느끼는 말

고추·목숨·살갗·숨결
7. 물과 같이 맑은 말

김·냇물·눈먹기·눈보라·샘·시내·실비·아지랑이
8. 바다만큼 드넓은 말

갯벌·늪·못·뭍·물결·물고기·미세기·바닷가·소금밭
9. 바람 따라 흐르는 말

골골샅샅·돌개바람·바람맛·산들바람
10. 밥을 먹듯 쓰는 말

개수대·도르리·도리기·도시락·살강·샛밥·수저·접시
11. 불씨로 타오르는 말

검불·꽁지불·땡볕·불바람·불볕·불씨·불티
12. 빛깔 고운 말

곱다·빛이름·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예쁘다·풀빛
13. 생각하며 살리는 말

꿍꿍이·마음밭·생각주머니·셈·슬기·톺아보다
14. 숲에서 가꾸는 푸른 말

멧자락·삶터·온누리·우듬지·푸르다
15. 어린이가 사랑하는 말

갓난쟁이·젖떼기밥·푸름이
16. 옷자락에 깃든 말

마름질·매무새·바지저고리·빔·빨래·입성·차림새·천·치마저고리
17. 이웃과 어깨동무하는 말

곁·동냥·한뎃잠·한솥밥
18. 일하며 웃음 짓는 말

두레·심부름·울력·일터·품앗이
19. 집을 짓듯 튼튼히 세우는 말

가꾸다·꾸미다·둥지·마루·보금자리·섬돌·울타리·짓다
20. 철들며 살피는 말

섣달그믐·설날·제철·철없다·큰보름·한가위
21. 풀벌레 노래하는 맑은 말

나물·남새·씨앗·푸성귀
22. 하늘숨을 쉬는 말

미리내·파랑·파랗다
23. 해님이 드리우는 따스한 말

노을·해거름·해님·햇볕·햇빛·햇살
24. 흙에서 일구는 구수한 말

거름·고랑·논·두메·똥오줌·멧골·밭·시골·이랑·흙일꾼
맺음말 : 수수께끼 놀이 하자 붙임말 : 책에 나온 낱말 뜻 헤아려 보기
출판사 서평
우리말을 찾아보려는 실타래를 푸는 이야기
저자는 시골사람이 말하는 ‘봄까지꽃’을 학자들이 ‘개불알풀꽃’이라는 이름으로 말하는데, 그 이유가 일제강점기 무렵 일본 학자가 학술이름으로 ‘개불알풀’이라는 꽃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우리 겨레는 이 꽃 이름을 ‘봄까지 피는 꽃’이라 해서 그대로 ‘봄까지꽃’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말합니다. 또 우리 겨레는 풀을 캐서 먹을 적에는 ‘나물’이라는 이름으로 불렀고, 밭에 씨앗을 심어 먹는 풀을 가리켜 ‘남새’라 했으며, 이 둘을 합해 푸성귀라고 불렀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남새는 중국말인 채소로, 푸성귀는 야채라는 일본말로 불려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 책은 이런 봄까지꽃, 나물, 남새, 푸성귀 등 우리말을 찾아보려는 실타래를 풀어나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도시 문명과 사회를 들려주는 우리말 이야기가 아니라 숲과 관련된 우리말에 담긴 사람들의 넋을 들려주는 이야기라 도시 어린이들에게 어렵거나 힘들게 읽힐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책 말미에 부모님과 함께 살펴보는 ‘책에 나온 251가지 낱말 뜻’을 헤아려보는 붙임말을 넣었습니다.
책속으로
낱말책(국어사전)을 펼치면 숱한 낱말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옛사람은 누구나 낱말책 없이 어버이한테서 말을 물려받았고,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자라고 나면, 스스로 어버이 되어 새로운 아이 낳아 다시 말을 물려주었어요. 옛사람은 낱말책도 없었지만, 학교도 없었고, 책도 없었어요. 그런데 한두 해 아니고, 백 해나 이백 해도 아닌, 또 천 해나 이천 해도 아닌, 만 해 십만 해 백만 해를 아우르면서 말을 빚고 말을 나누며 말을 이었어요 - 본문에서
우리말을 찾아보려는 실타래를 푸는 이야기를 담습니다. 우리말이나 국어학에 밝은 어른 한 사람이 온갖 지식과 정보를 그러모아서 착착착 가르쳐 주는 책은 아니에요. 우리말이나 국어학에 밝은 어른뿐 아니라, 이제 막 우리말을 하나둘 배우는 어린이들도 함께 어깨동무를 하면서 우리말 뿌리와 결과 너비를 살피자는 책입니다. - 본문에서
나는 아이들한테 ‘낱말책 말풀이’로 말을 가르치지 않아요. 가만히 마음소리에 귀를 기울인 다음, 마음으로 느끼는 이야기로 말을 들려줍니다. 꽃을 생각하는 동안 내 마음속에 어여쁜 꽃말이 자랍니다. 꽃을 헤아리면서 내 가슴속에 즐거운 꽃그림이 태어납니다. 꽃을 이야기하니 어느새 내 꿈속에 즐거운 이야기 한 자락이 피어납니다. - 본문에서